"1LDK"와 "분리형 욕실 & 화장실"이란? 일본 주택의 특징을 철저하게 해설!

Japanese house single-family home

일본의 주택에는 현관, 다다미와 미닫이문이 있는 일본식 방, 욕조가 있는 욕실 등 독특한 특징이 많이 있습니다. 드라마나 애니메이션에서 본 적이 있어 대략적으로 어떤 모습인지 알고 있더라도, 실제로 일본 집에 머물게 되면 어떻게 사용해야 할지 헷갈릴 수 있습니다. 이 기사에서는 일본 주택의 다양한 측면을 소개합니다!

자신의 나라와 일본의 생활 방식의 차이를 이해하면 일본 문화와 관습을 더 깊이 이해할 수 있을 것입니다!

일본 주택의 종류: 아파트, 맨션, 단독주택

Types of Japanese Housing: Detached Houses

일본에서 주요 주거 형태는 단독주택(일본어로 '이켄야'), 아파트, 그리고 맨션(일본어로 '맨션')입니다. 도쿄나 오사카의 도심에는 맨션에 사는 사람이 많고, 도심에서 조금 떨어진 곳에는 단독주택이 더 흔합니다.

참고로, 가구당 평균 규모를 보면, 거실 수는 4.40개, 거실의 다다미 수는 32.74장, 총 바닥 면적은 92.06㎡입니다.(일본 총무성 2018년 주택·토지 통계조사 기본 통계 요약)

아파트 (アパート - Apaato)

Types of Japanese housing: Apartment

아파트는 집합주택의 한 형태입니다. 하나의 건물이 여러 개의 독립된 주거 공간으로 나뉘어 있습니다. 일본에서는 아파트와 맨션(일본어로 '맨션')의 명확한 구분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아파트는 2층 이하의 목조 또는 경량 철골 구조의 건물을 가리킵니다. 서양에서는 아파트와 맨션의 구분이 없으며, 미국에서는 "Apartment", 영국에서는 "flat"이라고 부르지만, 일본에서는 "flat"이라는 용어는 거의 사용되지 않습니다. 일본의 오래된 아파트 중에는 드물게 화장실과 욕실이 공용인 경우도 있습니다. 도도부현별로 보면, 단독주택(자가주택)에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아키타현(80.7%), 야마가타현(76.9%), 도야마현(76.6%)입니다. 반면, 아파트나 맨션 등 집합주택에 거주하는 가구 비율이 가장 높은 곳은 도쿄도(70.3%), 오키나와현(58.3%), 오사카부(57.1%)입니다.(일본 총무성 2020년 국세조사 결과)

맨션 (マンション - Manshon)

Types of housing in Japan: Condominium

앞서 언급했듯이, 아파트와 맨션의 명확한 구분은 없지만, 일반적으로 3층 이상의 철근 콘크리트 또는 철골 철근 콘크리트 구조의 건물을 맨션이라고 부르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아파트에 비해 맨션은 주거 내 시설과 기능이 더 충실한 경우가 많고, 보안이 철저한 경우도 많습니다. 미국이나 영국에서 "mansion"은 호화로운 저택을 의미하지만, 일본에서는 의미가 다르며, 콘도미니엄을 가리키는 일본식 영어입니다.

단독주택 (一軒家 - ikkenya)

Types of Japanese Housing Detached House

한 채의 건물에 한 가구가 사는 주택을 가리키는 용어로, 문자 그대로 ‘단독주택’을 의미합니다. 일반적으로는 「도라에몽」이나 「짱구는 못말려」처럼 2층집이 많지만, 「치비 마루코짱」처럼 단층집(방갈로)도 있습니다. 도쿄 도심처럼 토지 면적이 작은 지역에서는 3층집도 볼 수 있습니다. 단독주택의 특징은 독립된 환경에 있다는 점입니다. 공동주택에 비해 이웃과 만날 기회가 적어, 적당한 거리를 유지할 수 있습니다.

부모 세대와 자녀 세대가 한 지붕 아래에서 사는 ‘이세대 주택’도 있습니다. 현관문이 두 개 있고, 집 안에도 칸막이가 있습니다. 주방, 거실, 식당, 현관, 욕실 등 일부 시설을 공유하는 ‘공유형’과, 물 사용 공간, 식사, 거실이 완전히 분리된 ‘완전 분리형’이 있습니다.

일본 주택 평면도 종류: "1R, 1K, 1DK, 1LDK"의 차이는?

Japanese House Layout Types

일본에서 임대 아파트나 주택을 찾을 때, 1LDK, 4LDK와 같은 용어를 자주 듣게 됩니다.

처음에 오는 숫자는 방의 개수를 나타내며, 그 뒤의 알파벳은 영어 단어의 머리글자로, L은 Living room(거실), D는 Dining room(식당), K는 Kitchen(주방)을 의미합니다.

  • 1DK: 방 하나와 다이닝 키친
  • 2LDK: 방 두 개와 거실, 다이닝 키친

L, D, K는 조합되어 자주 사용됩니다. DK는 ‘Dining Kitchen’의 약자로, 식사 공간과 주방이 통합된 방을 의미합니다. LDK는 ‘Living Dining Kitchen’의 약자로, DK에 거실 기능이 추가된 방을 말합니다. LDK는 DK보다 넓게 설계되어 휴식 공간을 확보하는 경우가 많습니다.

또한, ‘R’은 거실과 주방이 칸막이 없이 하나로 된 방을 의미합니다. 1R은 ‘칸막이 없는 하나의 공간’(원룸)을 뜻합니다. 반면, 1K는 현관과 주방이 거실과 문으로 분리된 구조입니다. 1인 가구용 주택의 경우, 주방이 복도에 위치하는 경우도 있습니다. 1R, 1K, LDK 등 기본 평면도에 따라 주방의 위치가 달라집니다.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 "츠보", "다다미", "조"는 몇 제곱미터(m2)?

Japanese house Tatami

Japanese house

일본에서는 주택이나 토지의 면적을 나타낼 때 ‘다다미(畳, 단위로 쓸 때는 ‘조’로 읽음)’, ‘조(帖)’, ‘츠보(坪)’와 같은 단위, 그리고 방의 크기를 나타내는 ‘m2(제곱미터)’가 사용됩니다. 다양한 표기법 때문에 일본인도 헷갈릴 수 있습니다.

역사적으로 일본 가정에서는 다다미를 사용했기 때문에, 방의 크기를 ‘다다미 한 장 = 1조(畳)’로 측정했습니다. 하지만 거실이나 서양식 방 등 다다미를 사용하지 않는 공간이 늘어나면서 ‘조(帖)’라는 단위가 사용되기 시작했습니다. 일반적으로 서양식 방의 크기는 ‘조(帖)’, 다다미방의 크기는 ‘畳’(둘 다 ‘조’로 읽음)로 표시합니다.

  • 다다미 또는 조(畳): 일본 고유의 단위로, 다다미 한 장의 크기를 의미합니다. ‘다다미’의 크기는 일본 전국에서 동일하지 않고, 지역에 따라 약간 다릅니다. 표준 다다미 한 장의 기본 크기는 약 ‘182cm x 91cm’로, 일반적으로 1.62㎡ 또는 1.65㎡로 간주됩니다.
  • 조(帖): 일본 고유의 단위입니다. 원래는 종이나 김 등 얇은 물건을 세는 단위였으나, 방의 크기를 나타내는 단위로도 사용됩니다. 다다미 한 장의 크기이므로, 1조는 1.62㎡ 또는 1.65㎡입니다. 6조는 약 10㎡입니다.
  • 츠보(坪): 일본 고유의 단위입니다. 전통적인 일본의 면적 단위 중 하나로, 1츠보는 다다미 두 장 크기와 거의 같습니다. 1츠보는 제곱미터로 환산하면 약 3.305785㎡이며, 정사각형으로 만들면 한 변이 약 1.818182m입니다.
  • : 미터법에서 면적을 나타내는 단위입니다. 한 변이 1m(미터)인 정사각형이 1㎡(㎡ = square meter = 제곱미터)입니다. 참고로 1㎡는 0.3025츠보입니다.

LDK(거실, 식당, 주방)의 평균 크기는 "약 18다다미(약 30㎡)"로 여겨집니다. 일반적으로 주방은 약 4다다미, 식당 공간은 약 5~6다다미, 거실은 약 8다다미입니다.

일본 주택의 설비: 현관, 발코니, 냉난방 에어컨 등

주거 형태에 관계없이 가족이 쉴 수 있는 거실, 주방, 욕실, 화장실이 있는 것이 일반적입니다. 그 외에도 다음과 같은 설비가 있습니다.

Japanese house Left: Veranda, Right: Balcony
왼쪽: 베란다, 오른쪽: 발코니
  • 베란다: 건물 외부로 튀어나온 난간이 있는 공간입니다. 베란다에 지붕이 있으면 비 오는 날에도 빨래를 널 수 있습니다.
  • 발코니: 지붕이 없는 야외 공간입니다. 주로 바비큐나 홈 가드닝 등 취미 공간으로 사용됩니다.
Japanese house Loft
  • 로프트(Loft): 천장이 높아 방의 일부가 2층 구조로 되어 있는 공간입니다. 로프트로 올라가는 전용 사다리가 설치되어 있으며, 취침 공간이나 아이들의 놀이 공간, 또는 수납 공간으로 사용할 수 있습니다.
Japanese house Entrance
  • 현관(玄関 - Genkan): 일본 특유의 공간입니다. 주택 등 건물의 주 출입구를 가리키며, 신발을 벗는 공간인 '도마(土間)'에는 신발장과 우산꽂이가 있습니다. 일반적으로 도마와 실내 바닥 사이에는 단차가 있지만, 아파트나 맨션의 경우 이 단차가 적은 경우가 많습니다.
  • 후문/뒷문: 단독주택에만 있는 출입구입니다. 건물 뒤쪽에 있는 출입구로, 특히 주방에서 출입하는 문을 '주방문'이라고 부릅니다.

또한 냉방과 난방이 모두 가능한 에어컨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으며, 비교적 신축 주택에는 바닥에서 전도열과 복사열로 방을 따뜻하게 하는 바닥난방이 설치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또한, 아래에 히터가 달린 이불 덮인 테이블인 "코타츠"라는 난방 기구가 있을 수도 있습니다.

일본 주택의 욕실 & 화장실: '유닛 배스'와 '분리형 욕실 & 화장실'이란?

욕조에 몸을 담그는 습관이 없는 나라들도 있지만, 대부분의 일본 가정에는 욕조가 있습니다.

Japanese House Bathrooms & Toilets Unit Bath
유닛 배스 예시
  • 유닛 배스(Unit Bath): 욕실, 화장실, 세면대가 일체형으로 구성된 설비입니다. 도면에서는 'UB'로 약칭되기도 합니다. 원룸(스튜디오) 아파트에 자주 설치되어 있습니다.
Japanese House Bathrooms & Toilets Three-point Separate
3점 분리 예시
  • 분리형 욕실 & 화장실: 욕실과 화장실이 분리되어 있습니다. 욕실에 욕조와 세면대가 있고, 화장실만 분리되어 있으면 '2점 분리'라고 하며, 욕실(욕조), 독립 세면대, 화장실이 각각 분리되어 있으면 '3점 분리'라고 부르기도 합니다.

1인 가구용 아파트의 경우, 방은 주로 1R 또는 1K, 약 20㎡ 크기에 6다다미 크기의 양실, 미니 주방, 유닛 배스가 갖추어져 있습니다.

또한, 일부 욕실에는 "욕실 건조기"가 설치되어 있습니다. 욕실 건조기는 욕실에 설치된 건조기로, 건조, 환기, 난방, 냉방 등 다양한 기능이 있습니다. 겨울에는 욕실을 따뜻하게 해주어 목욕 시간을 쾌적하게 만들어줍니다. 건조 기능을 사용하면 세탁물을 말릴 수도 있습니다. 또한, 욕조에는 "재가열" 기능이 있어 욕조의 물을 다시 데울 수 있습니다.

건물 시설: 택배 보관함, 쓰레기 배출 구역

일본 주택 택배 보관함
  • 쓰레기 배출 구역 : 지자체마다 다르지만, 일반적으로 단독주택의 경우 쓰레기를 분리수거하여 현관 앞이나 동네의 지정된 장소에 내놓습니다. 아무 때나 내놓을 수 없으며, 내놓는 요일은 쓰레기 종류에 따라 다릅니다. 예를 들어, 가연성 쓰레기는 월요일과 금요일, 불연성 쓰레기는 수요일에 내놓습니다. 잘못 내놓으면 쓰레기차가 수거하지 않는 경우가 많습니다. 맨션(아파트)의 경우, 건물 내에 24시간 쓰레기를 버릴 수 있는 쓰레기 배출 구역이 마련되어 있을 수 있습니다. 언제든 편한 시간에 버릴 수 있지만, 분리수거 및 배출 규칙을 반드시 지켜야 합니다.
  • 택배 보관함 : 부재 시 수취인을 대신해 소포나 우편물을 받아주는 사물함 형태의 시설입니다. 단독주택의 경우 현관 앞이나 문 밖에 설치되어 있고, 맨션(아파트)의 경우 입구나 우편함 근처에 설치되어 있습니다.

상식: 일본 주소와 건물 층수 읽는 법

일본에서는 주소를 우편번호부터 시작하여, 도도부현(현), 시, 구, 그 다음에 구체적인 위치 순서로 작성합니다.

우편번호 → 도도부현 → 시/구 → 〇초메, 번, 호 → 건물명 → 층수 → 호실

  • 예시 1)〒330-9301 사이타마현 사이타마시 우라와구 타카사고 3초메 15-1
  • 예시 2)〒108-0075 도쿄도 미나토구 고난 1-12-3, ABC빌딩, 5층, 201호

"○초메, ○번, ○호"는 "1-12-3"처럼 하이픈으로 연결해서 쓸 수 있지만, 공식 표기는 "○초메 ○번 ○호"입니다. 또한, 층수를 셀 때 해외에서는 "1층"을 GF(Ground Floor)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본에서는 1F로 표기합니다. 마찬가지로, 해외에서 "2층"을 1F로 표시하는 경우가 있지만, 일본에서는 2F로 표기합니다.

인덱스

추천